반응형
대법원 1996. 10. 25. 선고 96다30113 판결
1.문제점
과실상계와 법원의 직권참작 여부
2.판결요지
민법상의 과실상계제도는 채권자가 신의칙상 요구되는 주의를 다하지 아니한 경우 공평의 원칙에 따라 손해의 발생에 관한 채권자의 그와 같은 부주의를 참작하게 하려는 것이므로 단순한 부주의라도 그로 말미암아 손해가 발생하거나 확대된 원인을 이루었다면 피해자에게 과실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과실상계를 할 수 있고, 피해자에게 과실이 인정되면 법원은 손해배상의 책임 및 그 금액을 정함에 있어서 이를 참작하여야 하며, 배상의무자가 피해자의 과실에 관하여 주장하지 않는 경우에도 소송자료에 의하여 과실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이를 법원이 직권으로 심리·판단하여야 한다.
3.참조조문
민법 제396조(과실상계)
채무불이행에 관하여 채권자에게 과실이 있는 때에는 법원은 손해배상의 책임 및 그 금액을 정함에 이를 참작하여야 한다.
민사소송법 제134조(변론의 필요성)
① 당사자는 소송에 대하여 법원에서 변론하여야 한다. 다만, 결정으로 완결할 사건에 대하여는 법원이 변론을 열 것인지 아닌지를 정한다.
② 제1항 단서의 규정에 따라 변론을 열지 아니할 경우에, 법원은 당사자와 이해관계인, 그 밖의 참고인을 심문할 수 있다.
③ 이 법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제1항과 제2항의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반응형
'민사소송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기한 공격·방어방법의 의미 및 판단방법 (민사소송법 제149조) (0) | 2023.04.14 |
---|---|
변론주의와 직권조사사항 (신의성실과 권리남용) (0) | 2023.04.14 |
청구취지의 불분명과 석명 (0) | 2023.04.14 |
손해액의 석명 (손해액에 관한 입증이 불충분한 경우) (0) | 2023.04.14 |
건물매수청구권과 석명 (0) | 2023.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