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1996. 6. 28. 선고 96누4374 판결
1.문제점
금지규정에서 작위의무 명령권이 당연히 도출되는지 여부
2.판결요지
행정대집행법 제2조는 대집행의 대상이 되는 의무를 "법률(법률의 위임에 의한 명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에 의하여 직접 명령되었거나 또는 법률에 의거한 행정청의 명령에 의한 행위로서 타인이 대신하여 행할 수 있는 행위"라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대집행계고처분을 하기 위하여는 법령에 의하여 직접 명령되거나 법령에 근거한 행정청의 명령에 의한 의무자의 대체적 작위의무 위반행위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단순한 부작위의무의 위반, 즉 관계 법령에 정하고 있는 절대적 금지나 허가를 유보한 상대적 금지를 위반한 경우에는 당해 법령에서 그 위반자에 대하여 위반에 의하여 생긴 유형적 결과의 시정을 명하는 행정처분의 권한을 인정하는 규정(예컨대, 건축법 제69조, 도로법 제74조, 하천법 제67조, 도시공원법 제20조, 옥외광고물등관리법 제10조 등)을 두고 있지 아니한 이상, 법치주의의 원리에 비추어 볼 때 위와 같은 부작위의무로부터 그 의무를 위반함으로써 생긴 결과를 시정하기 위한 작위의무를 당연히 끌어낼 수는 없으며, 또 위 금지규정(특히 허가를 유보한 상대적 금지규정)으로부터 작위의무, 즉 위반결과의 시정을 명하는 권한이 당연히 추론(推論)되는 것도 아니다.
반응형
'행정법 총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거명령과 계고를 한 장의 문서로 할 수 있는지 여부 (0) | 2023.03.25 |
---|---|
대집행계고의 요건 (0) | 2023.03.25 |
(행정법 총론) 비대체적 작위의무와 대집행 (0) | 2023.03.25 |
(행정법 총론) 행정대집행과 민사상 강제집행절차 (0) | 2023.03.25 |
(행정법 총론) 사법상 의무의 불이행과 대집행 허용 여부 (0) | 2023.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