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2016. 11. 10. 선고 2016두44674 판결
1.문제점
1) 정보공개 청구인에게 특정한 정보공개방법을 지정하여 청구할 수 있는 법령상 신청권이 있는지 여부
2) 공공기관이 공개청구의 대상이 된 정보를 청구인이 신청한 공개방법 이외의 방법으로 공개하기로 하는 결정을 한 경우, 정보공개방법에 관한 부분에 대하여 일부 거부처분을 한 것인지 여부 및 이에 대하여 항고소송으로 다툴 수 있는지 여부
2.판결요지
구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2013. 8. 6. 법률 제1199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정보공개법’이라고 한다)은, 정보의 공개를 청구하는 이(이하 ‘청구인’이라고 한다)가 정보공개방법도 아울러 지정하여 정보공개를 청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전자적 형태의 정보를 전자적으로 공개하여 줄 것을 요청한 경우에는 공공기관은 원칙적으로 요청에 응할 의무가 있고, 나아가 비전자적 형태의 정보에 관해서도 전자적 형태로 공개하여 줄 것을 요청하면 재량판단에 따라 전자적 형태로 변환하여 공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는 정보의 효율적 활용을 도모하고 청구인의 편의를 제고함으로써 구 정보공개법의 목적인 국민의 알 권리를 충실하게 보장하려는 것이므로, 청구인에게는 특정한 공개방법을 지정하여 정보공개를 청구할 수 있는 법령상 신청권이 있다.
따라서 공공기관이 공개청구의 대상이 된 정보를 공개는 하되, 청구인이 신청한 공개방법 이외의 방법으로 공개하기로 하는 결정을 하였다면, 이는 정보공개청구 중 정보공개방법에 관한 부분에 대하여 일부 거부처분을 한 것이고, 청구인은 그에 대하여 항고소송으로 다툴 수 있다.
'행정법 총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공개거부처분의 취소를 구할 법률상 이익 (0) | 2023.03.24 |
---|---|
정보공개청구자가 선택한 공개방법과 공공기관의 재량권 (0) | 2023.03.24 |
공공기관이 개괄적인 사유만을 들어 정보의 공개거부를 할 수 있는지 여부 (0) | 2023.03.24 |
정보공개청구시 요구되는 대상정보의 특정의 정도 (0) | 2023.03.24 |
비공개대상정보 (피의자 등의 인적사항 이외의 진술내용) (0) | 2023.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