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2013. 2. 28. 선고 2012다98225 판결
1.문제점
재판상 화해의 창설적 효력이 미치는 범위
2.판결요지
가. 재판상 화해는 확정판결과 동일한 효력이 있고 창설적 효력을 가지는 것이어서 화해가 이루어지면 종전의 법률관계를 바탕으로 한 권리·의무관계는 소멸하나, 재판상 화해 등의 창설적 효력이 미치는 범위는 당사자가 서로 양보를 하여 확정하기로 합의한 사항에 한하며, 당사자가 다툰 사실이 없었던 사항은 물론 화해의 전제로서 서로 양해하고 있는 데 지나지 않은 사항에 관하여는 그러한 효력이 생기지 아니한다(대법원 2001. 4. 27. 선고 99다17319 판결, 대법원 2011. 7. 28. 선고 2009다90856 판결 등 참조).
3.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220조(화해, 청구의 포기ㆍ인낙조서의 효력)
화해, 청구의 포기ㆍ인낙을 변론조서ㆍ변론준비기일조서에 적은 때에는 그 조서는 확정판결과 같은 효력을 가진다.
반응형
'민사소송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행 화해와 모순되는 화해조서의 효력 (0) | 2023.05.01 |
---|---|
당연무효 이외의 하자 주장과 기일지정신청 (0) | 2023.05.01 |
화해권고결정의 효력 및 기판력 범위 (0) | 2023.05.01 |
화해조서의 형성력 (0) | 2023.05.01 |
무제한적 기판력설 (화해조서의 효력) (0) | 2023.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