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2009. 9. 24. 선고 2009두8946 판결
1.문제점
건축허가의 법적 성질
2.판결요지
건축허가권자는 건축허가신청이 건축법 등 관계 법규에서 정하는 어떠한 제한에 배치되지 않는 이상 당연히 같은 법조에서 정하는 건축허가를 하여야 하고, 중대한 공익상의 필요가 없는데도 관계 법령에서 정하는 제한사유 이외의 사유를 들어 요건을 갖춘 자에 대한 허가를 거부할 수는 없다.
대법원 2015. 7. 9. 선고 2015두39590 판결
1.문제점
건축법에서의 인허가의제 제도
2.판결요지
건축법에서 인허가의제 제도를 둔 취지는, 인허가 의제사항과 관련하여 건축허가의 관할 행정청으로 창구를 단일화하고 절차를 간소화하며 비용과 시간을 절감함으로써 국민의 권익을 보호하려는 것이지, 인허가 의제사항 관련 법률에 따른 각각의 인허가 요건에 관한 일체의 심사를 배제하려는 것으로 보기는 어려우므로, 도시계획시설인 주차장에 대한 건축허가신청을 받은 행정청으로서는 건축법상 허가 요건뿐 아니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이 정한 도시계획 시설사업에 관한 실시계획인가 요건도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이를 허가해야 한다.
대법원 1998. 3. 10. 선고 97누4289 판결
1.문제점
강학상 허가에 대한 경업자소송의 원고적격
2.판결요지
한의사 면허는 경찰금지를 해제하는 명령적 행위(강학상 허가)에 해당하고, 한약조제시험을 통하여 약사에게 한약조제권을 인정함으로써 한의사들의 영업상 이익이 감소되었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이익은 사실상의 이익에 불과하고 약사법이나 의료법 등의 법률에 의하여 보호되는 이익이라고는 볼 수 없으므로, 한의사들이 한약조제시험을 통하여 한약조제권을 인정받은 약사들에 대한 합격처분의 무효확인을 구하는 당해 소는 원고적격이 없는 자들이 제기한 소로서 부적법하다.
'행정법 총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가와 인가의 구별 (0) | 2023.03.17 |
---|---|
강학상 특허 관련 판례 (0) | 2023.03.17 |
기속행위와 재량행위 관련 판례 (0) | 2023.03.17 |
공정력 및 구성요건적 효력 (0) | 2023.03.17 |
행정행위의 효력발생요건 (0) | 2023.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