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2016. 12. 27., 선고, 2014도15290, 판결]
1.문제점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명예훼손죄 또는 모욕죄의 피해자가 될 수 있는지 여부
2.판결요지
형법이 명예훼손죄 또는 모욕죄를 처벌함으로써 보호하고자 하는 사람의 가치에 대한 평가인 외부적 명예는 개인적 법익으로서, 국민의 기본권을 보호 내지 실현해야 할 책임과 의무를 지고 있는 공권력의 행사자인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기본권의 수범자일 뿐 기본권의 주체가 아니고, 정책결정이나 업무수행과 관련된 사항은 항상 국민의 광범위한 감시와 비판의 대상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감시와 비판은 그에 대한 표현의 자유가 충분히 보장될 때에 비로소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국민에 대한 관계에서 형벌의 수단을 통해 보호되는 외부적 명예의 주체가 될 수는 없고, 따라서 명예훼손죄나 모욕죄의 피해자가 될 수 없다.
반응형
'모욕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욕죄 (대법원 2015. 9. 10., 선고, 2015도2229, 판결) (0) | 2023.03.07 |
---|---|
상관모욕죄 (대법원 2013. 12. 12., 선고, 2013도4555, 판결) (0) | 2023.03.07 |
모욕죄 (대법원 2017. 4. 13., 선고, 2016도15264, 판결) (0) | 2023.03.07 |
모욕죄 (대법원 2018. 5. 30., 선고, 2016도20890, 판결) (0) | 2023.03.07 |
모욕죄 (대법원 2018. 11. 29., 선고, 2017도2661, 판결) (0) | 2023.03.07 |